한참 동안 고민해오던 대학원 진학에 대해 드디어 결론을 내렸다. 공부를 더 하고 싶은 생각은 있었지만 이거다 싶은 확신이 들지 않아서 할까 말까를 엄청 망설였었다. 기교연 연구원들과의 대화 이후 내가 정말 준비되지 않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세부 전공도, 교수님도 내가 하는 것처럼 검색 정도로 알아봐서는 안 되는 거였다. 그리고 얘기를 듣다 보니 국내 대학원이 매우 폐쇄적인 곳일 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다. 지원을 하기도 전에 미리 교수님을 만나서 인사를 드리는 게 좋고 그렇게 미리 컨택을 한 학생과 교수가 이야기가 잘 맞으면 그 학생을 유치하기 위해 교수가 애를 쓰기도 한다고 한다. 그게 좋은 건지 안 좋은 건지는 잘 모르겠다. 다만 이제 와서 내가 배우고 싶은 교수님들을 알아보고 컨택해보기에는 시간도 너무 촉박하고 혹시나 고압적이거나 권위적인 교수를 마주치게 되면 그냥 기분이 많이 우울할 것 같아 내키지 않았다. 결국 올해 대학원 진학은 안 하기로 했다. 

 

대신 방송통신대 교육학과에 편입을 준비해보려 한다. 학비도 싸고 업무와 병행 가능하고 혹시 이후에 교육학 대학원에 진학을 하고자 할 때 여러모로 가교 역할이 될 것 같다. 사실 나는 타 전공자이기 때문에 교육학에 대한 기초가 없으니까 학부과정만 이수해도 지금보다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또 '나름대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리서치로서의 의미도 있다. '나름대로' 기획 회의를 하는데 부딪힌 문제점 중의 하나는 우리가 방송대의 교육의 질을 잘 모른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번에도 직접 경험해보기로 했다. '직접 해보기'가 우리 팀의 공식 기획 절차가 될 것 같은 예감.

 

브라이스 캐니언 여행 중에 병구쌤의 '나름대로' 구상을 전해 들었을 때만 해도 정말 너무 발칙한 상상이라서 머리가 어질하고 두려운 마음이 컸는데 언젠가부터 담담해지고 자연스레 받아들여졌다. 어제 간담회에 참석하셨던 꽃친 부모님들의 표정도 무척이나 담담해서 다른 참가자들과는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새삼스레 지금 내가 살고 있는 사회에 참 다양한 사람들이 살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교육개혁을 외치는 사람들 중에서도 직접 궤도를 벗어나 본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이 가지는 상상력의 차이가 크다. 하지만 그런다 한들 아파트의 이름 앞에 소중한 결혼 계획을 내려놓는 사람들과의 차이만큼이나 클까. 태극기, 성조기, 이스라엘기 골고루 섞어 배낭에 꽂고 광화문으로 나서는 신실한 장로님들과의 차이만큼이나 클까. ㅇㅇ한 것들은 죽여도 된다는 말을 하는 사람들과의 차이만큼이나 클까.

 

세계여행 1년이면 대단한 현자는 아니어도 조금은 현명해질 줄 알았는데. 여전히 나는 나다. 꽃친 전후로 바뀐 게 없다는 세준이의 말이 진정 진리인가 보다. 뭔가 변화가 있어야 한다는 생각도 강박이고 그걸로 내 경험의 긍정적인 면을 증명해야 하는 것도 부자연스러운 일이다. 꽃친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꽃치너들도 어쩌면 자기 최면적 대답에 서서히 질식해 가고 있는 건 아닐까 하는 걱정도 된다. 누군가 계속되는 질문에 이렇게 대답해주면 통쾌하겠다.

 

젠장! 망할 놈의 변화 좀 그만 물어봐요. 하고 싶었으니까 한 것뿐이고 아무 나쁜 일도 안 생겼다는 게 내가 해줄 수 있는 말의 전부예요.

 

 

 

 

 

2019. 10. 30. 00:07. RSS feed. came from other blogs. Leave a Response.
Posted in 생각. Top